728x90

분류 전체보기 25

이동식사다리 안전작업지침 살펴보기

구름 한 점 없는 파란 하늘이 계속되고 있는 가을입니다. 만연한 가을을 만끽하려 유명 수목원, 공원 등은 주말이면 항상 사람들로 붐비는 것 같습니다. 저는 직업병이라서 그런지 그 수목과 조경을 관리하시는 분들이 먼저 보입니다. 보다 보면 조경 작업 시 매우 위험천만하게 작업하는 경우를 많이 보게 됩니다. 그 작업자분들에 의해 관리되고 있기 때문에 조경은 아름답습니다. 하지만 조경 때문에 사람이 다쳐서는 안 되겠죠. 이에 오늘은 그 조경 작업에 필요한 이동식사다리 안전작업지침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물론 이동식사다리는 쓰이는 곳이 많기 때문에 일반 산업에서도 적용됩니다. 이동식사다리 안전작업지침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어떤 사다리 작업이든 안전모 착용은 필수로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작업 시에는 양손에 무..

산업안전 2023.10.17

후쿠시마 원전 처리수? 오염수?(원자력 발전의 명암)

원자력에 대해서는 정치적인 이념과 맞물려 보는 관점이 매우 다양합니다. 불편하신 분들은 뒤로가기를 눌러주시면 되겠습니다. 저는 기본적으로 원전 찬성론자입니다. 하지만 마냥 '긍정적'으로 생각하진 않습니다. 왜냐하면 사용 후 핵연료가 어느 정도 안정화되려면 '10만 년' 이라는 시간이 필요하므로, 거의 영구적으로 미래 세대에 짐을 안겨주는 것이나 마찬가지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사용 후 핵연료를 재활용하는 방안에 대해서 연구가 진행 중이지만 제가 알기로는 구체적인 성과가 나올 수 있는 단계는 아닌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방사성 폐기물을 저장하는 장소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원자력 발전해서 전기 쓰는 것은 박수치지만, 방사성 폐기물에 대해서 박수치며 좋아하는 사람은 없습니다. 방폐장은 누구에게나 혐오시..

에너지 2023.10.13

접지 시스템 방식의 분류(TN, TT)

오늘 해볼 이야기는 '접지'입니다. 일반인이라면 지구와 한몸되어 맨발 걷기를 떠올리는 분도 있겠지만, 산업에서 일하는 분들은 '접지'는 보호하고자 하는 물체 혹은 회로가 대지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가 되는 것을 떠올리실 겁니다. 저도 당연히 후자를 생각하였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간단하게 접지 시스템의 분류 정도만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접지 시스템 계통은 다음과 같이 분류합니다. 1. TN 계통 2. TT 계통 3. IT 계통 제1문자 T는 전원계통 한점을 대지에 직접 접속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I는 모든 충전부를 대지와 절연시키거나 높은 임피던스를 통해 한 점을 대지에 직접 접속을 의미합니다. 제2문자는 전기설비의 노출도전부와 대지의 관계를 의미하는 것으로 T는 노출도전부를 대지로 직접 접속을 의미..

산업안전 2023.10.05

23년 4분기 전기요금 인상 압박

https://m.edaily.co.kr/news/Read?newsId=02919206635769640&mediaCodeNo=257&utm_source=https://www.google.com/ 김동철 한전 사장 “4분기 전기요금 kWh당 25.9원 인상해야”김동철 한국전력(한전) 신임 사장은 4분기 전기요금 인상과 관련해 “킬로와트시(kWh)당 (기준연료비 기준) 25.9원, 이 선에서 최대한 전기요금을 올리는 것이 맞는다”라고 밝혔다. 김동철 한국전m.edaily.co.kr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우리나라 사람은 겨울에는 가스 떼워 따뜻할 것이라는, 여름은 에어컨 펑펑 쓰며 시원할 것이라는 생각, 생각을 넘어선 믿음을 가지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도 언젠가부터는 보편적으로 굶주리지 않고 잘살게 되었고 세대가..

에너지 2023.10.05

끼임사고 원인과 예방

오늘 이야기 하고자 하는 것은 '끼임사고' 입니다. 사전적인 의미는 신체의 일부가 기계의 움직이는 부위에 말려들어가 발생하는 사고를 의미합니다. 일반인들도 위험성과 사례에 대해서 매체를 통해 충분히 접해봤을 내용입니다. https://m.khan.co.kr/national/national-general/article/202308102115015#c2b SPC 끼임사고 노동자, 결국 사망…당국, 중대재해처벌법 적용 조사 1년 새 관련 안전사고 3건그룹 전반 안전의식 도마에노동계 “총수 책임 물어야” SPC그룹 계열... m.khan.co.kr 위 사례를 자세히 살펴보면 참 안타깝습니다. 아마도 사망에 이르기 전에 알려지지 않은 수많은 끼임사고가 발생하였을 것입니다. 경미하였겠죠. 모든 일에는 그 전조가 있..

산업안전 2023.09.28

조선소 족장공 사망사고

https://news.sarangbang.com/detail/article/4528382 고성군 A조선소,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재판중 또 다시 사망사고 발생(종합) [고성(경남)=뉴시스] 신정철 기자= 경남 고성군 동해면의 한 조선소에서 지난 19일 오전 11시 35분깨 건조 중인 선박에서 발판 철거작업을 .. news.sarangbang.com 경남 고성군 동해면의 한 조선소에서 근로자 사망사고가 발생했습니다. 기사에서도 밝혀지지 않았기 때문에 업체 이름을 굳이 밝히지는 않겠습니다. 하지만 해당 조선소에서는 2021년, 2022년, 2023년 연달아 조업 중 사망사고가 발생하였습니다. 이번 사망사고의 원인은 '발판 철거 작업 중 추락사'입니다. 조선소에서는 흔히 족장이라고 표현하는데 요즘은 순화해..

산업안전 2023.09.20

전기요금 차등제에 대한 견해

우리나라의 수출 1위 품목은 무엇인가요? '반도체'입니다. 우리나라 무역수지가 흑자가 되려면 적은 에너지(석탄, 가스, 석유) 소모하면서 반도체 수출이 잘 돼야 합니다. 그만큼 반도체 산업은 우리나라에서 중요한 부분입니다. 인류의 편의를 위해 반도체는 점점 더 고성능화될 것이고, 이에 따라 반도체 생산을 위한 인프라 증설은 필연적이며 반도체 생산을 위한 에너지 소모도 많아질 것이라 예상해 볼 수 있습니다. https://www.donga.com/news/Economy/article/all/20230421/118939376/1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전력수급 비상… 1일 최대 7GW 확보해야 삼성전자가 300조 원을 투입할 예정인 ‘용인 첨단 시스템반도체 클러스터’(반도체 클러스터)가 조성되면 하루 최대 7..

에너지 2023.09.19

친환경 수혜 업종(?)

https://www.msn.com/ko-kr/news/other/%EA%B8%B0%EC%A1%B4-%EB%AA%A8%EC%8A%B5%EC%9D%80-%EC%9E%8A%EC%96%B4%EC%A3%BC%EC%84%B8%EC%9A%94-%EC%A0%95%EC%9C%A0%EC%97%85%EA%B3%84-%EC%A3%BC%EC%9C%A0%EC%86%8C-%EB%B3%80%EC%8B%A0-%EC%9C%84%ED%95%B4-%EC%95%88%EA%B0%84%ED%9E%98/ar-AA1gFQth?ocid=msedgdhp&pc=U531&cvid=d3f6db0ae5a447d691f2a2cf1a36686f&ei=100#image=1 “기존 모습은 잊어주세요”...정유업계 주유소, 변신 위해 안간힘 [파이낸셜뉴스] 정유업계..

에너지 2023.09.14

전기차, 친환경적인가?(2)

이차 전지는 반복적인 충·방전을 통해 전기에너지와 화학에너지를 상호 교환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전지로서 충전식 전지(rechargeable battery)로도 정의됩니다. 방전만 하는 일차 전지와는 다른 것이죠. 전기차를 더 전기차답게 활용하는 방법 (hyundai.co.kr) 전기차를 더 전기차답게 활용하는 방법 전기차는 더 이상 낯선 물건이 아니다. 우리 생활 속에 깊숙이 자리 잡은 전기차를 한층 이해하기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상식과 방법을 알아봤다. | 현대자동차그룹 스토리 www.hyundai.co.kr 위 현대자동차에서 제공하는 자료를 보면 전기차 관리를 위한 조건이 많습니다. 초고속 충전은 80%까지, 충전소 사전 파악, 급가속 급정거 피하기, 겨울철 배터리 컨디셔닝(예열),..

에너지 2023.09.12

전기차, 친환경적인가?(1)

전기차가 친환경적인가? 이에 대한 답을 하려면 국내 발전 시장 환경을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2022년 기준으로 석탄 발전량은 19만 3,231GWh로 전체 발전량의 32.5%를 차지합니다.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은 4만 3,096GWh에서 5만 3,175GWh로 증가하며 비중은 7.5%에서 8.9%로 1.4%p 늘어난 것으로 보입니다. 석탄 발전 비중은 2021년 대비 34.3%에서 32.5%로 -1.8%p, 가스 발전 비중은 29.2%에서 27.5%로 -1.7%p 각각 감소했습니다. 여전히 가스 발전 비중은 상당합니다. 2022년 총 발전량은 59만 4,392GWh로 전년 대비 3.0% 증가했습니다. 국내 전기 사용량은 산업의 경기 cycle에 따라 변동은 있지만 인류의 보편적인 생활 수준 향상에 발맞..

에너지 2023.09.12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