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안전

조선소 족장공 사망사고

ENG.J 2023. 9. 20. 12:30
728x90

https://news.sarangbang.com/detail/article/4528382

 

고성군 A조선소,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재판중 또 다시 사망사고 발생(종합)

[고성(경남)=뉴시스] 신정철 기자= 경남 고성군 동해면의 한 조선소에서 지난 19일 오전 11시 35분깨 건조 중인 선박에서 발판 철거작업을 ..

news.sarangbang.com

 
경남 고성군 동해면의 한 조선소에서 근로자 사망사고가 발생했습니다.
 
기사에서도 밝혀지지 않았기 때문에 업체 이름을 굳이 밝히지는 않겠습니다. 하지만 해당 조선소에서는 2021년, 2022년, 2023년 연달아 조업 중 사망사고가 발생하였습니다.
 
이번 사망사고의 원인은 '발판 철거 작업 중 추락사'입니다. 조선소에서는 흔히 족장이라고 표현하는데 요즘은 순화해서 발판이라고 하기도 합니다. 
 

안전벨트 하나에 의지해 발판을 설치하는 족장공(출처 : 나무wiki)

 

발판을 철사로 고정하는 족장공(출처 : 나무wiki)

 
족장 설치는 선체, 도장, 의장 작업자들이 블록에서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발판과 사다리, 핸드레일 등의 가설물을 설치하고 해체하는 행위를 의미합니다. 조선소에서 일하는 것이 힘들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힘든 작업이라고 할 수 있죠. 
 

족장 설치 모습(출처 : 삼성중공업 블로그)

 
아시바 파이프를 세워 그 위에 족장을 설치하고, 또 아시바 파이프를 세워 족장을 설치하는 작업의 반복입니다. 단순해 보이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족장을 설치하기 위해서 항상 고소작업을 진행해야만 합니다. 거의 서커스 곡예 수준입니다. 숙련자분들의 작업을 보고 있으면 거의 예술의 경지입니다. 저는 과거 의장QM이었습니다. 이분들이 설치한 족장들을 밟고 혹은 기어다니면서 선주 대응하고, 검사하는 것도 상상하지 못할 만큼 고된 일인데, 이분들은 어련할까요?
 
족장을 설치하고 공정이 끝나고 선주의 검사가 종료되면 족장이 철거됩니다. 철거는 설치의 역순으로 진행되어야 합니다. 역순으로 진행하지 않고 중간 지지대를 미리 빼거나 해버리면 상부 구조물 자체가 해체 전 무너질 수 있습니다. 이번 발생된 사고도 그런 형식인 것으로 보입니다. 
 

LNG 화물창 시스템 족장(출처 : 나무wiki)

 
안전보건 시스템이 형식적으로나마 정립이 된 대형 조선소의 경우에는, 대규모의 족장 설치 및 해체 작업이 진행될 때는 안전관리자들이 현장에 직접 출동하여 공정을 감시합니다.
 
일하는 작업자는 눈앞의 위험도 못 보는 경우가 많습니다. 제 3자가 보면 위험한 점을 잘 발견하죠. 그렇기에 안전사고의 위험이 덜 하지만, 중소 조선소는 안전 인력도 없거니와 안전보건 시스템을 구축할 여건도 되지 않아서 사고 발생 위험이 높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더 문제인 것은 구성원들조차 "안전 인력 투입할 여유가 있으면 그 인력을 공정에 투입해야지"와 같은 사고방식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숙련 족장공들의 경우 이미 평택의 반도체 육상 플랜트로 많이 떠났습니다. 건설이든 조선이든 공정을 위해 발판이 필요한 것은 매한가지이기 때문입니다. 조건 좋은 곳으로 옮기는 것은 당연하겠죠.
 
앞으로 조선소는 수주받은 물량이 넘치고 있기에 대형 조선소뿐만 아니라 하도급받는 중소형 블록업체에서도 이러한 사고가 잦아질 것으로 예측할 수 있습니다. 족장 설치할 숙련자도 거의 떠나서 없지만 공정은 밀려있을 것입니다. 공정이 지연되어 경영진들은 마음 급할 것이고, 더더욱이 안전사고의 위험이 많이 커질 것 같습니다. 
 
조선소 현재 임금수준으로는 숙련공들은 울산, 거제 안 옵니다. 젊은 사람은 일하러 더더욱 오지 않습니다. 쉽지 않지만 대형 비계는 이제 시스템화해서 일괄 탑재하는 형식으로 공정이 바뀌어야 조선소도 살고 노동자도 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위험한 조선소의 현실을 감안하여 이번 사고는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사업주 및 경영책임자에게 합당한 처벌이 주어졌으면 합니다.
 
경영진들은 '스마트 조선소' 같은 추상적인 이야기 말고, 직접 나서서 안전을 챙겨야 공정도 잘되고 임직원도 건강할 수 있습니다. 

728x90